약물 복용시 주의해야 하는 음식
1. 캡사이신(capsicum) -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ace inhibitor: 당뇨, 고혈압), 테오필린(theophylline:천식치료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1)캡사이신 성분이 이들 약물의 흡수와 농도를 증가시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2. 코엔자임 q-10(coenzyme q-10) - 와파린(쿠마딘, Coumadin:혈액응고 억제약, 심장질환, 뇌질환),항암 화학요법
1)와파린과 함께 사용시 출혈경향이 증가한다.
2)항암치료 중 코엔자인 q-10을 섭취할 경우 항암효과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3)일부 고지혈증 약(로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당뇨약(글리뷰라이드, 토라자미드 계열)이나 혈압약(인데랄 등의 베타차단제)은 코엔자임 q-10의 효능을 바꿀 수도 있다.
4)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 요구량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혈당 관리를 더욱 세심하게 해야 합니다.
3. 당귀(dong guai) - 와파린(쿠마딘,Coumadin:혈액응고 억제약, 심장질환, 뇌질환), 성요한초(st.john’s wort:우울증 치료에 쓰이는 약초), 항생제(설폰마이드 계열, 퀴놀론 계열)
1)와파린과 함께 사용시 출혈경향이 증가한다.
2)성요한초나 일부 항생제와 함께 사용시 태양에 대한 피부 민감도가 증가하여 과민반응이 나타나기도 한다.
4. 마늘(garlic) - 아스피린과 대부분의 혈액응고 억제제, 티클로피딘(티클리드), 클로피도그렐(플라빅스), 디피리다몰(페르산틴), 와파린(쿠마딘), 사이클로스포린(산디뮨:면역 저하제, 자가 면역질환이나 장기이식시 사용). hiv효소 저해제(aids 치료제의 일종)
1)마늘은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강화하여 출혈경향을 높일 수 있다.
2)마늘은 면역저하제나 aids치료제의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다.
3)마늘이 당뇨환자에서 혈당치를 낮추어 인슐린 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마늘과 인술린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혈당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하고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5. 생강(ginger) - 아스피린과 대부분의 혈액응고 억제제, 티클로피딘(티클리드), 클로피도그렐(플라빅스), 디피리다몰(페르산틴), 와파린(쿠마딘), H2수용체 길항제, 수소이온 펌프 저해제(궤양 치료제)
1)생강은 약물의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강화하여 출혈경향을 높일 수 있다.
2)생강이 위산분비를 증가시켜 제산제의 효과를 방해할 수 있다.
3)생강은 혈압이나 혈당치를 낮추기도 하므로 혈압약이나 인슐린, 경구혈당저하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 주의 깊게 혈압이나 혈당의 변화를 관찰하고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6. 은행나무(ginkgo) - 아스피린과 대부분의 혈액응고 억제제, 티클로피딘(티클리드), 클로피도그렐(플라빅스), 디피리다몰(페르산틴), 와파린(쿠마딘), 항우울제, 항정신병약, 인슐린
1)은행나무 추출성분을 이런 약과 함께 사용하게 되면 혈액 응고 억제 효과가 증강되어 심한 출혈이 있을 수 있다.
2)항우울제의 농도를 높이므로 부작용이 생기기 쉽다.
3)항정신병약과 함께 사용하면 간질발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4)인슐린 수치에 영향을 주므로 주의 깊게 혈당치를 관찰해야 한다.
7. 인삼(ginseng) - 와파린(쿠마딘:혈액응고 억제제), 페넬진(나르딜:항우울제), 디곡신(digoxin:강심제, 심부전 치료에 사용)
인슐린과 기타 경구혈당저해제
1)와파린과 함께 사용시 출혈 위험이 증가 할 수 있다.
2)페넬진과 함께 섭취하면 두통, 진전(떨림), 조증 행동을 보일 수 있다.
3)인삼은 강심제의 약물작용이나 약물활동에 대한 관할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함께 사용해서는 안된다..
4)인삼은 제2형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환자의 혈당치를 낮출 수 있으므로 혈당치를 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면 심각한 저혈당에 빠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자료 및 서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검사에 따른 방사선 피폭량과 피폭 허용치 (0) | 2020.03.06 |
---|---|
MRI 촬영 안정성 판단 (0) | 2020.03.06 |
약제별 대략적인 복약시간 (0) | 2020.03.06 |
Vit B군의 기능적 분류 (0) | 2020.03.06 |
[급여] 비타민 D검사 급연기준 변경 (0) | 2020.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