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어깨와 무릎 관절 (Since 2006)" 구리정형외과소아과

올바른 정형외과 정보를 나누고자 합니다

다리 질환 36

지간 신경종(Interdigital neuroma)

지간 신경종(Interdigital neuroma) 정의 지간 신경종은 발가락으로 가는 신경이 발가락 뿌리 부분에서 압박되면서 두꺼워진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진정한 의미의 종양이 아닙니다. 원인 족지에 분포하는 내외 족저 신경의 분지인 지간 신경 주위 조직에 섬유화가 발생하면서 전족부의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외의 원인으로는 횡 중족지골 간 인대의 비후, 결절종, 활액 낭포, 지방종 등이 있습니다. 증상 지간 신경종의 가장 흔한 증상은 걸을 때 앞 발바닥에 타는 듯하고 찌릿한 통증이 느껴지는 것입니다. 때에 따라 발가락의 저린 느낌이나 무감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특징적으로 굽이 높고 앞이 좁은 구두를 신었을 때 증상이 생기다가도 신발을 벗고 전족부를 마사지하면 맨발로 푹신한 바닥을 걸을 때는 괜찮아집니..

다리 질환 2022.05.25

오다리(O다리, 내반슬, Genu varum), 엑스다리(X다리, 외반슬, Genu valgum)

오다리(O다리, 내반슬, Genu varum), 엑스다리(X다리, 외반슬, Genu valgum) 1.용어 정의 (1)오다리(O다리, 내발슬, Genu varum) : 발목을 붙이고 섰을 때 무릎이 바깥으로 벌어지게 O자 모양으로 보이는 형태를 말하며, 대부분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후천적인 생활습관(양반다리, 하이힐)에 의해 생긴다. (2)엑스다리(X다리, 외반슬, Genu valgum) : 무릎을 붙이고 섯을 때 무릎 아래 바깥으로 벌어지게 X-자 모양으로 보이는 형태를 말하며, 구조적으로 고관절이 내회전되고 모음되어 있으며 종아리뼈는 외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3)반장슬(Genu recurvatum) : 무릎관절이 지나치게 뒤로 꺽이는 것으로 어린이나 여성들에게 나타는 현상이다. 2.나이에 따른 다리..

다리 질환 2020.03.06

족근관증후군(tarsal tunnel syndrome)

족근관증후군(tarsal tunnel syndrome) 발의 안쪽 부분의 저림이 있는 경우 의심해 볼수 있읍니다 허리 디스크 만큼 흔하지는 않지만 증상이 아주 명확하지 않아서 타 질환으로 인한 증상과 혼동할 가능성이 있어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족부 내측으로 지나가는 신경이 인대 (지대) 밑을 통과하게 되는데 여러가지 원인으로 족관(Tarsal tunnel) 안에서 신경이 눌리는 증상이 족관 증후군 입니다 인대의 비후 결절종 같은 터널내 종양 염증 뼈의 증식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읍니다 진단이 확실시 되면 각각에 맞는 보존적 치료가 우선 시행 됩니다 족관내 스테로이드 주사로 먼저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해 봅니다 주사로 증상이 호전된다면 진단을 할수 있읍니다 만약 호전이 없다면 다른 질환을 생각해 봐야 합니..

다리 질환 2020.01.18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 (TSH, transient synovitis of hip)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 (TSH, transient synovitis of hip)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 (TSH, transient synovitis of hip) 아직도 확실한 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감기 증상후 바이러스가 관절막에 혈행성 전파되어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읍니다 관절막에 바이러스성 염증이 일어나 활액이 증가하고 통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아빠 다리 자세 (Patrick Test)에서 특징적인 통증이 유발됩니다 초음파 상에서도 관절액 증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읍니다 비용적 부담이 없다면 MR에서도 쉽게 소견을 볼수있으나 초기부터 시행하는 것은 경제적 측면에서 바람직해 보이지는 않습니다 아주 심한 경우 일반 방사선 검사에서도 관절 간격이 늘어 난 것을 볼수 있지만 자세 ..

다리 질환 2018.07.12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DDH) 선천성 고관절 탈구 , 발달성 고관절 탈구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DDH) 선천성 고관절 탈구 발달성 고관절 탈구 최근 산전 검사 ( 초음파 등)의 발달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어려운 질병이 되었읍니다 출산 전 후 고관절이 탈구되어 있거나 습관적 탈구를 일이키는 병입니다 영아는 골구의 골화가 되어 있지 않기에 일반 방사선 사진상에서 탈구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몇가지 증상과 테스트를 해보고 질환을 의심하게 됩니다 정복과 탈구 테스트 주름의 비대칭 고관절 높이와 각도 등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검사를 진행 하여야 합니다 일반 방사선 사진상 몇가지 방법으로 탈구를 의심할 수 있읍니다 탈구를 방치하게 되면 중년이 되어 심각한 고관절의 관절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일반 방사선 사진상 탈구를 유추해 볼수 있는 몇가지..

다리 질환 2018.04.03

내족지 보행 (Intoeing gait)

내족지 보행 (Intoeing gait) 개원을 해서 일반적 질환도 다같이 보다보니 소아의 신체 발달에 대한 걱정과 질문을 많이 받게 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내족지 보행입니다 아이들이 아래 그림과 같이 발이 안쪽을 향하고 가끔 자기 발에 걸려 넘어진다고 내원하며 교정치료, 교정신발 등 많은 비용을 들인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럼 내족지와 내족지 보행은 뭘까요? 아래 그림과 같이 보행시 발가락이 중심선안으로 향하는 것이 내족지 보행이고 우측 그림은 외족지 보행입니다 대부분의 내족지 보행은 생리적 발달과정이므로 크게 치료할 필요도 걱정할 필요도 없으나 병적인 경우는 교정을 요하는 경우도 있읍니다 내족지 보행을 일으키는 요인은 아래 그림과 같이 세부분입니다 대퇴골이 안으로 돌아서 경골이 안으로 비틀어져서..

다리 질환 2014.01.15

제5중족골 기저부 골절 (Jones fracture, 존스 골절)

제5중족골 기저부 골절 (Jones fracture, 존스 골절) 발의 골절중 가장 흔한 존스골절 즉 제5중족골 기저부 골절에 대해 알아보겠읍니다 NBA 농구 스타 야오밍의 부상을 잘알려진 존스 골절은 대부분 수술을 요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골절이후에도 peroneus brevis tendon 즉 단비골근 인대가 지속적으로 골편을 잡아당겨 골절의 유합을 방해하여 불유합이 되게 하기 때문입니다 골절의 발생기전을 살펴봐도 직접적 외상보다는 단비골근의 과도한 당김으로 인한 견열골절(Avulsion fracture)이 많습니다 제5 중족골 골절의 분류를 보게 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중 아래에서 2가지 골절 즉 true jones fracture, tuberosity fracture를 통칭하여 Jones 골절이라..

다리 질환 2013.07.16

[정형외과] 새로운 내성 발톱 (내향성, 감입성, Ingrowing nail) 의 치료방법 “발톱 성형술”

새로운 내성 발톱 (내향성, 감입성, Ingrowing nail) 의 치료방법 “발톱 성형술” 내향성 발톱이란 발톱의 가장자리가 살속을 파고 들어 발톱 주위에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기존에는 발톱을 부분 절제하거나 뽑아내는 치료가 시행되어져 왔으나 재발율과 합병증이 ..

다리 질환 2012.09.03

고도 발톱 변형의 치료 (고도 내성발톱, 고도 내향성 발톱)

[정형외과] 고도 발톱 변형의 치료 (고도 내성발톱, 고도 내향성 발톱) 내성 발톱중 발톱의 심한 변형을 동반하는 경우 염증의 치료 가 쉽지 않은데 예전엔 자극되는 발톱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치료하였으나 최근에는 발톱성형술을 이용하여 고도 발톱변형의 교정과 염증치료를 동시에 시행하고 있읍니다

다리 질환 2012.08.16

내성 발톱의 비절개 시술 치료 과정 (내향성 발톱)

[정형외과] 내성 발톱의 비절개 시술 치료 과정 (내향성 발톱) 최근 본원의 내성발톱 치료법이 여러 매체에 게재 된 이후 내성 발톱의 비절개 시술 치료 방법에 대한 문의가 많았읍니다 내원 환자도 많았구요... 시술 과정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드리고자 과정을 간략히 설명드립니다 염증이 동반되지 않은 발톱 변형입니다 시술은 외래 내원 당일 별다른 절차 없이 가능하며 국소 마취하에 5분정도 소요됩니다 시술에 사용될 StiRing 기구입니다 우선 해당부위를 소독후에 발가락 지간 신경에 대한 마취를 시행합니다 주사 두방이 조금 따끔 하긴 하지만 이과정 후에는 전혀 통증이 없읍니다 이후 말려 들어간 발톱을 확인하고 정리합니다 발톱 크기를 측정합니다 이후 측정된 발톱 사이즈의 기구를 준비 합니다 기구를 이용하여 발톱을..

다리 질환 2012.08.09

부주상골 (pre-hallux on navicular bone)

[정형외과] 족부의 부주상골 (pre-hallux on navicular bone) 부 주상골 발을 삐는 경우 발목이 아닌 발의 안쪽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특히 평발이면서 발 안쪽의 뼈가 도드라 지게 만져지는 경우 이러한 예가 많은데 단순 방사선 사진 (X-ray)을 찍어 보면 아래와 같이 부주상골의 모양이 'ㄱ' 형태를 하고 있는 경우에 우리는 이를 부주상골 , pre hallux라고 합니다 대개 아래와 같이 발의 주상골 (navicular bone)은 직사각형으로 생겼는데 일부의 경우 아래와 같이 골화중심이 따로 있다가 완전히 융합되지 못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주상골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방사선 사진상 아래와 같이 저명하게 보이며 외상에 의해 부주상골의 유합이 손상되게 되어지면 보행시 마다 후경..

다리 질환 2012.05.07

무지 외반증 (Hallux valgus, 엄지발가락 변형, 무지외반증, 무지외반)

무지 외반증 (Hallux valgus, 엄지발가락 변형, 무지외반증, 무지외반) 이 처럼 심한 무지 외반증은 외관상 뿐만 아니라 통증이 유발되고 일반적인 신발을 신기가 불편하여 일상생활이 제한되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무지외반증의 발생 원리 무지외반증은 아래의 두가지 각도를 기준으로 수술방법이 결정되게 됩니다 각각의 각도에 따른 수술방법은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 수술 방법은 우선 내측 절개를 하고 내전근 및 튀어나온 뼈를 제거한후 다양한 형태의 절골술을 시행하여 중족골을 안쪽으로 돌려 줍니다 이후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시켜줍니다 수술 후 사진 경도의 무지외반증은 아래의 보조기를 사용하여 교정하기도 합니다

다리 질환 2012.04.25

발음성 고관절 (Snapping Hip, 장경 인대 증후군, 장경인대 건염)

[정형외과] 발음성 고관절 (Snapping Hip, 장경인대 증후군, 장경인대 건염) 장경 인대 증후군, 장경 인대 건염 발음성 고관절은 다리를 움직일때 대전자부에서 소리와 함께 통증이 발생하는 증후군을 말하며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주로 장경인대(ilio-tibia tract)와 대전자(greater trochanter)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아래 사진과 같은 부위 즉 대전자부에 압통과 함께 동통, 염발음이 주요 증상입니다 보행시 발생하는 대전자와 장경인대 사이의 마찰에 의해 장경인대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고 이것이 오래되면 장경인대가 섬유화 되고 탄력이 없어져서 만성적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아래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고 소리가 나게 됩니다 치료는 우선은 보존적 치료입니다 보행을 제한하고 소..

다리 질환 2012.04.24

[정형외과] 족관절 골절 (발목 골절, ankle fractures)

정형외과 의사로 살아가면서 가장 많이 접하는 골절은 겨울엔 원위 요골 골절이고 그 이외의 계절에는 족관절 골절입니다. 이렇게 흔한 골절인데 잘못된 치료를 받는 경우도 많고 치료가 필요한데 안하는 경우도 많아 간략하게라도 같이 알아보기로 합니다. 아래 두가지 다이아그램이 있는데 족관절 골절의 대분을 설명해 줍니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비틀리면 이렇게 깨지는 구나 하는 것입니다. 족관절은 정상적으로 다음 사진과 같은 정상수치를 가지고 있는데 방사선 사진상 하나라도 이상이 있다면 골절이나 인대손상을 의심해야 합니다. 또 다른 도표입니다. 족관절은 위와 같이 여러 인대와 뼈로 구성되어지는 인대 손상이나 뼈의 손상이 오게 되면 정상 구조가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족관절 골절에서 수술의 적응증은 굉장히 넓은데 이는..

다리 질환 2011.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