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어깨와 무릎 관절 (Since 2006)" 구리정형외과소아과

올바른 정형외과 정보를 나누고자 합니다

일반적 질환 132

딸꾹질 치료 최신지견

딸꾹질 치료 최신지견 1.서론 (1)딸꾹질 정의 : 가로막과 호흡근이 불수의적으로 수축하면서 돌발적인 흡기가 닫힌 성대에 부딪히면서 소리를 내게 되는 복잡한 신경 호흡기 현상 (2)딸꾹질 원인 1)위의 과팽창, 과식 2)음주 3)급격한 체온변화 (3)난치성 딸꾹질 정의 : 숨참기나 구역반사유도 등 대증적 요법으로 사라지지 않는 딸꾹질이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이며, 대게 기저질환을 동반하고 있고 딸꾹질 반사궁에 관여하는 신경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주거나 염증을 유발함으로써 발생한다. 연세가 많을수록 흔하게 나타나면 남성에서 여성보다 20배 정도 많이 발생하고, 말기 암 환자의 1~9%에서 난치성 딸꾹질을 동반한다고 보고되었다. (4)난치성 딸꾹질의 원인 1)중추신경계 : 종양, 수..

일반적 질환 2021.12.09

RICE 치료원칙

RICE 치료원칙 “RICE 치료 원칙”을 염증의 네 가지 증상(발적, 열감, 부종, 통증)과 연관 지어 살며보면 1. R은 Rest(안정)을 의미한다. “통증이 있다”는 것은 뭔가 “문제가 생겼다”는 의미이다. 만약 혈관, 신경, 뼈 등의 심각한 손상이 있는 경우라면, 움직이다가 더 심한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약한 손상이라도 염증반응의 원인이 되는 반복적인 자극은 피하는 것이 최선이므로 손상이 있으면 즉시 움직이지 말고 약 24~48시간 동안 쉬는 게 좋다. 2. I는 Ice(얼음)을 의미한다. 손상 부위를 시원하게 하면 초기에 혈관을 수축시켜 부종(swelling)과 통증(pain)을 감소시킬 수 있다. 24~48시간 동안은 2~3시간에 한 번씩, 약 15~20..

일반적 질환 2021.12.09

대상포진(Herpes zoster)

대상포진(Herpes zoster) 1. 정의 :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ZV)가 수두를 일으킨뒤 척수 후분절(DRG)에 잠복되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졌을때 다시 활성화되어 발생하는 질환 2.개요 (1)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1)인간을 감염시키는 8개의 헤르페스 바이러스 중 하나 2)이중나선 구조의 enveloped virus 3)두 가지 질병을 일으킬 수 있음(수두, 대상포진) (2)CDC(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약 3명중 1명은 일생동안 대상포진에 걸리게 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대상포진 발생율과 질환 중증도가 증가(85세에는 생애 발생 위험도가 50%) (3)발병 위험인자 : 당뇨(2.44배), 천식(1.70배), 중년여성(45~64세 1.83배), 대상포진 가족력 *괄호안의 배수는 일반인..

일반적 질환 2021.07.21

간기능 혈액검사 해석 방법

간기능 혈액검사 해석 방법 1.ALP와 r-GTP가 높을 때, 이 2가지 검산느 간수치 상승시 간실질 질환인지 담도 질환인지 구분하는데 유용하다. (1)ALP 관련 1)ALP는 담도세포에 많이 분보되어 있고 뼈와 태반, 그리고 장에도 분포되어 있다. 그러므로 ALP만 상승한 경우는 담도질환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ALP는 간실질질환(만성간염, 알콜성 간질환)에서는 상승폭이 크지 않고, 담정체성질환(담도결석, 담도암)일 때는 많이 상승하기 때문에 구분이 된다. 2)임신의 경우, 식사 후 혈액 검사시 ALP가 상승 할 수 있다.(금식 후 검사) 3)성장기의 아이들도 ALP 수치가 많이 올라가 있다. 4)드물지만, primary biliary cirrhosis, lymphoma, leukemia에서도 APL는..

일반적 질환 2021.05.27

흉강천자 및 흉관삽관

1. 적응증 : 원인 미상의 흉막액에 대한 진단적 천자. 흉수의 제거, 기흉의 제거 등 치료적 천자 2. 흉강 천자 방법 (1) 기흉에서 공기 제거 시에는 앙와위로 상체를 30-45도 올린 상태에서, 흉막강 내의 액체 채취 및 배액은 앉은 자세에서 팔을 앞으로 뻗은 상태에서 시행한다. (2) 검사 부위는 공기 제거 시에는 쇄골 중심선상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늑간에서, 액체 제거 시에는 후액와 선상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늑간 부위를 기준으로 한다. (3) 상기 기준 및 환자의 이학적, 방사선학적 검사소견을 종합하여 검사부위를 결정하며, 무균적 방법으로 검사를 시행한다. (4) 늑골의 위쪽 경계 부위를 통하여 국소 마취제를 주사하면서 가검물이 채취되는지를 확인하고, 채취되는 경우 깊이가 어느 정도..

일반적 질환 2021.03.18

응급증상 및 이에 준하는 증상

※ 응급증상 및 이에 준하는 증상 1. 응급증상 신경학적 응급증상: 급성의식장애, 급성신경학적 이상, 구토·의식장애 등의 증상이 있는 두부 손상심혈관계 응급증상: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증상, 급성호흡곤란, 심장질환으로 인한 급성 흉통, 심계항진, 박동이상 및 쇼크중독 및 대사장애: 심한 탈수, 약물·알콜 또는 기타 물질의 과다복용이나 중독, 급성대사장애(간부전·신부전·당뇨병 등)외과적 응급증상: 개복술을 요하는 급성복증(급성복막염·장폐색증·급성췌장염 등 중한 경우에 한함), 광범위한 화상(외부신체 표면적의 18% 이상), 관통상, 개방성·다발성 골절 또는 대퇴부 척추의 골절, 사지를 절단할 우려가 있는 혈관 손상, 전신마취하에 응급수술을 요하는 중상, 다발성 외상출혈: 계속되는 각혈, 지혈이 안되는 출혈,..

일반적 질환 202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