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갱년기 치료 최신지견
1.폐경
(1)정의 : 폐경은 임신이나 수유와 같은 명확한 유발원인 없이 12개월간의 연속적 무월경 상태일 경우
(2)용어
1)Spontaneous menopause: 특별한 원인없이 자연적으로 진행 된 폐경. 한국인의 경우 평균 나이는 49.7세이다.
2)Induced menopause: 양측 난소절제술, 항암 치료, 또는 방사선치료에 의한 폐경
3)Menopause transition (perimenopause): 월경 주기가 불규칙 해지는 시점에서부터 월경이 완전히 중단되기까지의 기간으로, 여성호르몬의 불균형이 진행되는 시기이다.
4)Premature ovarian insufficiency (premature menopause): 40세 이전에 발생한 폐경
5)Early menopause: 40-45세 사이의 폐경
2.폐경 진단
(1)자연적으로 폐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마지막 생리 후 12개월이 경과한 경우
(2)수술적인 처치로 인해 발생한 경우에는 난포자극호르몬을 측정하여 이 수치가 40Miu/Ml 이상일 경우
3.검사 기준(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 가이드라인)
(1)45세 이상의 여성이 12개월 간의 무월경을 보이거나 혈관운동증상을 호소한 다면 폐경의 진단 기준에 합당하다고 하였다. FSH를 측정하는 경우
(2)45세 이전 여성에게 폐경 관련한 증상이 있거나, 40세 이전 여성에게 무월경이 있을 때로 제한
4.폐경 증상
(1)급성 증상으로는
1)혈관 운동성 장애에 따른 증상 : 안면홍조와 발한
가)하루 중 아무 시기에나 나타날 수 있으며, 야간에도 발생하여 수면을 방해하고 피로를 유발
나)약 75%의 여성이 경험하며, 25%의 여성은 5년 정도 지속되고 5%는 장기간 이러한 증상이 지속
다)수술에 의한 폐경일 경우에는 생리적 폐경보다 더 많은 여성에서 열성 안면 홍조를 경험
2)정신적 증상
가)기분의 변화 : 가장 흔한 증상은 우울로서 65~89%가 경험하고 그 외 불안, 짜증, 긴장, 신경과민, 의욕 상실, 자신감의 상실 등
나)기억력의 변화 : 에스트로겐의 변화와 인지기능과는 매우 밀접한 관계
(2)아급성 증상
1)비뇨생식계의 위축에 따른 증상(요도 증후군) : 질 건조감, 성교통, 반복적인 세균성 감염과 빈뇨, 배뇨곤란 등
2)교원질 소실에 의한 증상 : 피부가 얇아지고 건조해지면 쉽게 상처를 받게 되는 상태
(2)만성 증상
1)골다공증
2)심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
5.폐경호르몬요법의 대상 및 치료 방법
(1)비호르몬 치료법
1)시원한 옷 종류를 입거나, 실내의 온도를 낮추거나, 찜질방과 같은 뜨거운 장소를 피하고, 자극이 되는 음식들(술, 매운 음식, 뜨거운 음식)을 피하는 것을 시행
2)체중감량
3)약물치료 : Paroxetine 7.5 mg은 FDA에서 폐경 증상 완화 약제로 승인되었고, Paroxetine은 tamoxifen의 대사를 방해하여 약제의 효과를 떨어뜨리므로, tamoxifen을 사용중인 유방암환자에게는 paroxetin 외의 다른 약제를 사용
(2)폐경호르몬요법의 대상 : 중등도-중증의 혈관운동증상을 호소하는 폐경기 여성, 시작 시기는 60세 이전 또는 폐경후 10년 이내
(3)호르몬제의 선택
1)자궁이 있는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토젠 복합치료
2)자궁이 없는 여성에게는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을 사용
(4)모니터링
1)폐경호르몬요법을 하는 동안에 불규칙한 질출혈이 있는지 확인, 만약 3-6개월 이상 지속되는 질출혈이라면, 자궁내막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
2) 환자에게 주기적으로 유방암의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야 한다.
(5)폐경호르몬요법의 효과
1)혈관운동증상, 근골격계 증상, 기분 장애, 성적인 불편감 등과 같은 폐경 증상들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
2)폐경에 의한 비뇨기 계통 증상이나 질 건조증과 관련된 증상들도 호르몬요법을 통하여 호전
3)골다공증의 예방 및 골절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는 약제를 중단하면 사라짐.
(6)폐경호르몬요법과 관련한 위험들
(6)폐경호르몬요법과 관련한 위험들 : 유방암, 심혈관질환, 정맥혈전색전증(venous thromboembolism), 뇌졸중의 증가
1)2015 미국내분비학회 지침 : 폐경 증상이 있는 60세 미만의 여성 또는 폐경 후 10년 이내의 여성이 폐경호르몬요법을 고려한다면, 심혈관질환의 위험도에대하여 평가할 것을 제안하였고,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에게는 비호르몬 치료법을, 중등도 위험군에게는 경피용 에스트 로겐 제제의 사용을 제안
2)뇌졸중과 정맥혈전색전증은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젠 복합요법군과 에스트로겐 단독요법군 모두에서 증가
가)정맥혈전색전증에 대한 위험이 있는 여성에게 폐경호르몬 요법을 고려할 경우, 경피용 에스트로겐 제제의 사용을 권고(경구용 제제와 달리, 경피용 에스트로겐 제제는 간에서의 fist pass 효과가 없어서 응고인자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나)자궁이 있는 여성에게 프로게스토젠을 사용할 경우에는, 정맥혈전색전증에 대한 위험성을 높이지 않는다고 알려진 micronized progesterone이나 dydrogestone의 사용을 권고
Ref.폐경기증후 치료 트렌드 2015, Perspectives for Managing Menopause: General Introduction
'일반적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생존시간 (0) | 2020.03.11 |
---|---|
폭염으로인한 온열질환(출처 : 대한의사협회) (0) | 2020.03.06 |
수면제 처방 (0) | 2020.03.06 |
간기능 검사 12종 의미 (0) | 2020.03.06 |
비타민 결핍증, 과잉증 (0) | 2020.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