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어깨와 무릎 관절 (Since 2006)" 구리정형외과소아과

올바른 정형외과 정보를 나누고자 합니다

팔 질환 32

베넷 골절과 역베넷 골절 (Bennet Fx and Reverse Bennet Fx)

베넷 골절과 역베넷 골절 (Bennet Fx and Reverse Bennet Fx) 정형외과 영역에서는 골절 이름에 사람이름이 붙으면 수술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베넷 골절도 그중 하나인데요.... 베넷골절은 아래 그림과 같이 골절면의 경사와 인대의 장력이 작용하여 골절을 전위시켜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고정을 시켜야지만 골절을 정복 시킬수 있읍니다 베넷 골절의 분류는 아래 그림과 같이 3가지로 구분됩니다 엄지손가락과 마찬가지로 새끼손가락 기저부의 골절도 고정수술을 하지 않으면 인대의 장력 때문에 흘러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위의 기전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흔히 보는 경피적 K강선 고정술입니다 정복 (뼈를 맞추는) 방법입니다 수술후 사진입니다 수술은 매우 간단한 편에 속합니다

팔 질환 2014.11.12

요골두 골절에서의 인공 골두 치환술 및 인공 팔꿈치 치환술 (Radial head fractures, 팔꿈치뼈 골절)

요골두 골절에서의 인공 골두 치환술 및 인공 팔꿈치 치환술 (Radial head fractures, 팔꿈치뼈 골절) 요골두 Radial head는 전완 즉 앞팔이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게 해주는 구조물인데 전완의 안정성 측면과 운동범위 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활을 하게 됩니다 팔꿈치 관절은 3개의 뼈가 만나서 이루어지는데 고유의 복잡성이 있읍니다 팔을 짚고 넘어지거나 심하게 팔이 꺽이는 경우 골절이 일어날수 있읍니다 동반 손상으로는 측부인대 손상이나 척골 골절 등이 있을수 있읍니다 깨진 요골두를 뒤에서 앞으로 본 모습 요골두 골절은 메이슨 Mason 분류에 따라 나누게 되는데 이 분류는 치료 방침 결정에 아주 중요하게 쓰입니다 아래의 도표가 아주 중요한데요 수술의 기준은 메이슨 분류 2이상으로 운동장애가 ..

팔 질환 2013.07.02

손저림 클리닉(Carpal tunnel syndrome) - 손저림 비마취 비절개 수술 (ECTR)

손저림 클리닉(Carpal tunnel syndrome) - 손저림 비마취 비절개 수술 (ECTR) 손저림 클리닉 (손저림 비마취 비절개 수술 클리닉) 손목의 인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두꺼워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손목 안의 공간이 좁아져 정중신경(Median nerve)이 조이게 되는데 이러한 질환을 수근관 증후군 (손목터널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이라고 합니다. 위 사진처럼 정중신경(median N.) 이 좁아진 수근관 안에서 눌려서 손의 저린 증상과 근육위축이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저린 증상은 야간에 더 잘 발생합니다. 평소 손저림이 있다면 수근관증후군을 한번 의심해 봐야 합니다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고 손저림이 지속적으..

팔 질환 2013.05.15

손저림 환자를 위한 비마취 비절개 손저림 수술 (내시경 수근관 증후군 수술, ECRT)

평소 손저림이 있다면 수근관증후군을 한번 의심해 봐야 합니다 수근관 증후군 (수근 터널 증후군, 손목 터널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CTS) 수근관 증후군의 치료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보통 손목 주사 한차례에 반응이 없고 손저림이 심해진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존의 수..

팔 질환 2013.05.13

내시경 수근관 증후군 수술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ECTR], 내시경 손목관 증후군 수술)

[정형외과 설명 ] 내시경 수근관 증후군 수술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ECTR], 내시경 손목관 증후군 수술) 손목 터널 수근관 증후군 (수근 터널 증후군, 손목 터널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CTS) 내시경을 이용한 손목 터널 증후군 수술법 손목 안에는 정중신경을 포함한 여러 구조물들이 지나가게 되는데 손목터널이 좁아져서 신경을 압박하여 손이 저리고 아파지는 질환을 수근관 증후군 (CTS, 손목 터널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좁아진 손목터널 안에서 정중신경이 눌리면 손끝의 저린 증상(밤에 더욱 심해짐)과 근육 위축을 야기하게 됩니다. 보존적 치료로 치유되지 않으면 손목의 횡인대를 절개하여 손목 터널 내의 압력을 줄여주는 수술을 시행하게 됩..

팔 질환 2013.03.12

소아 주관절 아탈구 (Pulled elbow, radial head subluxation, 소아 팔빠짐, 주내장)

[정형외과] 소아 주관절 아탈구 (Pulled elbow, radial head subluxation, 소아 팔빠짐, 주내장) 소아가 넘어지거나 떨어지면서 팔을 짚거나 또는 팔을 잡아 당긴후 통증을 호소하며 잘 못움직인다면 주관절 아탈구를 의심해 볼 수 있읍니다 대개 팔꿈치 바깥쪽을 아파하며 팔을 못들게 되는데 단순방사선 사진(X-ray)상 이상 소견이 없고 골절이 될만한 외력이 없을 경우 진단 할 수 있읍니다 이는 요골두가 요골두를 감싸고 있는 인대에서 반쯤 빠지는 아탈구가 발생하는 경우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아래와 같이 인대의 파열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어 가끔은 부목 고정을 하기도 합니다 아주 간단하 방법으로 정복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팔을 외회전(밖으로 돌리기)후에 팔꿈치를 굽히면 요골두가 쉽게 정..

팔 질환 2012.05.07

드 꿰르벵 병 (De quervain's tenosynovitis Dz, 데꼬방 건염, 손목 산후풍, 무지 신전 건염)

드 꿰르벵 병 (De quervain's tenosynovitis Dz, 데꼬방 건염, 손목 산후풍, 무지 신전 건염) 무지 신전 건염 드꿰르벵병은 아래 사진과 같이 엄지손가락의 신전 건에 발생하는 염증 즉, 건염입니다 아래사진과 같은 동작을 취할때 통증이 발생되면 의심해 볼수 있읍니다 핑켈스타인( Finkelstein test) 검사 이 병은 손의 반복적 작업으로 발생하며 MR 사진상 인대 주변 건초 (sheath)에 염증이 잔뜩 발생함을 볼 수 있읍니다 손의 신전건 중 엄지손가락에 건염이 잘오는 이유는 일상생활에서 엄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엄지손가락 신전건의 건초가 크고 두껍기 때문입니다 건초와 신전건의 확대 모습 염증이 마찰에 의하여 발생함을 알 수 있읍니다 초음파 검사상 아래와 같이 건초내 염증..

팔 질환 2012.04.27

추지 (mallet finger, 골성 추지 , 건성 추지)

추지 (mallet finger, 골성 추지 , 건성 추지) 주변에서 흔히 볼수 있는 손가락(수지) 손상 예를 살펴보겠읍니다 먼저 추지 (mallet finger) 입니다 추지는 손가락을 펴는 힘과 굽히려는 외력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손가락 끝마디 뼈나 인대가 파열되는 외상입니다 인대가 파열되는 건성추지와 뼈가 골절되는 골성 추지로 나뉩니다 외상의 메카니즘 추지가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외관의 형태를 띄게 됩니다 치료 입니다 우선 건성 추지가 발생하면 주로 보존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다음과 같은 보조기를 이용하여 손가락을 신전시켜 저절로 파열된 인대가 붙게끔 도와줍니다 치료의 기전은 다음 사진과 같습니다 대부분 아랫사진과 같이 과신전 해놓게 됩니다 추지보조기의 실 착용예 건성추지가 만약 외상과 동반된다면 ..

팔 질환 2012.04.25

주관절 내측 불안정성(팔꿈치 내측 불안정성, ulnar collateral ligament injury)

주관절 내측 불안정성(팔꿈치 내측 불안정성, ulnar collateral ligament injury) 주관절 (팔꿈치)은 인체 관절 중 가장 안성성 있는 관절이어서 불안정성이 쉽게 오지 않지만 큰 외력에 의한 부상이라던지 투구와 같은 반복적 동작으로 인하여 점진적 손상이 발생하여 불안정성이 올 수 있읍니다. 불안정성은 외측과 내측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중 내측에 발생하는 불안정성에 대해 살펴 보겠읍니다 위 그림에서 1번 인대가 주로 손상되어 불안정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반복적인 투구 동작등에 의한 외반력이 내측 측부인대의 손상을 초래 합니다 손상은 급성 파열 보다는 점진적으로 인대가 늘어나며 이로 인해 불안정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음과 같이 외반력을 주면 동통이 발생합니다 (O'brien test) 검..

팔 질환 2012.02.17

주관 증후군 (Cubital tunnel syndrome)

주관 증후군 (Cubital tunnel syndrome) 척골 신경 포착 증후군(Ulnar nerve entrapment syndrome) 주관 증후군 다른 말로는 척골신경 포착 증후군(Ulnar nerve entrapment syndrome) 이라고도 불립니다 하지만 이는 광범위한 용어로 주관증후군이 좀더 정확한 표현입니다 먼저 아래 그림은 척골 신경(Ulnar nerve)의 주행과 신경지배영역 (신경이 담당하는 영역)에 대한 설명입니다 척골신경은 다른 신경과는 좀더 복잡한 주행을 하며 여러 구조물 사이를 빠져 나가고 있으며 주로 4, 5번째 손가락쪽에 신경분포를 하게 됩니다 척골 신경은 아래와 같은 여러 복잡한 구조물 사이를 지나게 되는데 이중 한곳이라도 좁아지게 되면 신경이 눌리며 신경지배 부위에..

팔 질환 2011.12.09

결절종 (물혹, Ganglion cyst) 손가락 점액낭종 Mucoid cyst

[정형외과] 결절종 (물혹, Ganglion cyst) 손가락 점액낭종 Mucoid cyst 결절종은 우리몸에 생기는 종양 (양성과 악성 모두 합쳐)중 가장 흔한 종양이며 수술후에 가장 재발율이 높은 종양이기도 하다. 대부분 뼈처럼 만져진다고 걱정하며 내원하는데 결절종의 수술 적응증은 통증과 미용상 이유 두가지 뿐이다... 통증이 없고 별로 신경쓰이지 않는다면 그냥 두고 보는 것도 방법이다 발생원인은 특별히 밝혀진것이 없다 결절종은 골막이나 건막의 일부가 부풀어 그 속에 관절액이나 활액이 차있으며 컨디션이 나쁠때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 아주 작은 경우 압력을 가해 터트리기도 하고 물을 뽑아내고 (젤리같은 액체가 나온다- 이것만으로도 진단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를 주입하기도 하는데 이는 추후 종양주위 조직..

팔 질환 2011.08.10

[정형외과] 수근관 증후군 (수근 터널 증후군, 손목 터널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CTS)

수근관에는 정중신경을 포함한 여러 굴곡건들이 지나게 되는데 여러 이유로 수근관이 좁아져서 정중신경을 누르게되는 질환을 수근관 증후군 즉 carpal tunnel syndrome (CTS) 이라고 합니다. 호발하는 연령과 성별, 기저질환들이 통계적으로 나와있지만 정확히 들어맞지는 않습니다. 그냥 중년 ..

팔 질환 2011.08.08